본문 바로가기
진리탐구/동양영성

[불교] 보권좌선의 - 도겐

by 하늘의흐름 2017. 9. 20.
반응형

普勸坐禪儀 (보권좌선의) 
좌선의 지침을 널리 고함


도(道)는 원래 완벽하고, 미치지 않는 곳이 없다. 도를 수행하는 데에 무엇이 필요한가. 법의 굴레는 스스로 굴러간다. 
왜 우리는 구태여 수고롭게 애를 써야 하는가? 
온 우주에는 조금의 흠도 없다. 그런데 어떻게 그것을 쓸고 닦는다는 말인가. 
모든 것은 바로 이 자리에서 드러나 있다(현현(顯現)되어 있다).그러니 우리 수행의 발길을 어느 곳으로 향한다는 말인가. 

이제 그대가 약간의 차별심(差別心)만을 갖더라도 하늘과 땅만큼의 차이가 벌어질 것이다. 
또, 한 가지를 쫓고, 다른 것들을 배척한다면 그대의 마음은 흩어지고, 그대는 길을 잃고 말 것이다. 
만일 그대가 법(진리)에 대한 이해를 확실히 하고, 충분히 깨달으며, 단번에 알아차리는 지혜를 갖고, 도를 얻어 마음을 맑게 하며, 천상에 이르고자 하는 마음을 낸다고 생각해 보자. 그러면 그대의 머리는 입구에서부터 막혀버리고, 그대의 몸은 빠져나올 수도 없게 되어버릴 것이다. 

석가모니 부처님은 태어날 때부터 현명하셨지만, 그대는 그의 육년 고행의 과정을 보지 못했는가. 또 보리달마 선사는 서천에서 심인(心印)을 전해오셨다. 그대는 달마 면벽 구년의 울림을 듣지 못하는가. 
옛적의 성인들도 이러한데, 오늘의 우리가 어찌 전심전력으로 수행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말과 어구를 쫓지 말고, 사려분별의 발길을 되돌려, 그대의 내면으로 빛을 비추어 보아야(회광반조) 한다. 
그러면 그대의 몸과 마음은 스스로 떨어져나갈 것이고, 그대의 본래면목(원래의 모습)이 확연히 드러날 것이다. 그대가 지금 이 자리에서 사물의 본래 모습과 만나고자 한다면 그대는 우선 그대 자신 본모습이 되어야 한다. 

선을 하자면 조용한 방에 머물러야 하고, 식음을 절제해야 한다. 모든 관계를 끊고, 잡다한 일들을 내려놓아야 한다. 
선악을 생각지 말고, 진위를 판별하지도 말아야 한다. 그대의 마음과 의식은 이리저리 따지고 다니지만, 그것들을 놓아버려야 한다. 생각으로 분별하고 따지는 일(사려분별)을 포기해야 한다. 부처가 되겠다는 생각도 하지 말아야 한다. 그러면 어떻게 단지 앉거나 누워있을 수만 있는가? 

앉을 때는 자리를 깔고 방석을 놓는다. 그리고 결가부좌나 반가부좌를 한다. 결가부좌 자세에서는 오른 발을 왼쪽 장딴지 위에 올려놓고, 왼쪽 발은 오른 장딴지 위에 올려놓는다. 발가락 끝의 선이 허벅지 밖으로 나가지 않게 일직선이 되도록 한다. 반가부좌 시에는 왼발을 오른쪽 허벅지 위에 올려놓기만 하면 된다. 
의복과 가사는 꼭 조이지 않도록 한다. 오른 손을 왼발 위에 올려놓는다. 그리고 왼 손은 오른손 바닥 위에 올려 놓는다. 그리고 엄지손가락 끝을 살짝 붙인다. 

등을 똑바로 세우고 앉는다.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기울지 않도록 한다. 귀가 어깨와 일치하도록 한다. 코는 배꼽에 일치시킨다. 그리고 혀는 입천장에 위치시킨다. 숨은 코로 쉬는 것이다. 입술을 다문다. 눈을 뜨고, 숨을 코로 들이마시고 뱉는다. 몸을 좌우로 움직여서 제자리를 잡은 후에, 움직이지 않고 앉아 있는다. 아무것도 생각하지 않는다. 그것은 어떤 종류의 생각인가? 생각을 들어오지 않게 하는 것이다. 이것이 좌선의 기술의 핵심이다. 

좌선은 명상의 기법이 아니다. 그것은 즐거운 편안함의 법이다. 그것은 무한한 진리의 실체를 수행하는 것이다. 여기 열려진 신비(公安)가 드러나 있다(顯成). 그대가 그것을 얻는 데에는 더 이상의 속임수나 술수가 없다.

만일 이것을 얻으면 용이 물을 얻은 것과 같고, 범이 산을 타는 것과 같다. 마땅히 알라, 정법이 저절로 드러나 있으니 혼미하거나 산란하면 안된다.
앉았다가 일어설 때에는 조용히 천천히 일어난다. 갑자기 서둘러서는 안된다. 세속을 뛰어넘고 성인이 되는 일도, 앉아 죽고 서서 죽는 일도 오로지 이 힘에 의한 것임을 알아야 한다. 

법의 수레바퀴를 손가락으로 굴리거나, 바늘로, 막대기로, 망치로 굴리거나, 혹은 주먹으로 치거나 할을 하거나 해서 법을 나타낸다고 해도, 분멸심이 있다면 이것을 이해하지 못할 것이다. 법은 모양을 보거나 소리를 듣는 데에 있지 않다. 그것은 지식과 견해 이전에 있는 것이다 남들보다 지식이 모자란다고 걱정할 필요가 없다. 우둔하거나 영리하다고 해서 차별심을 가질 필요도 없다. 그대의 마음을 한가지에 집중시키기만 한다면 그 자체가 전심전력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수행이란 현실에 즉(卽)해서 사는 것이다. 

인도에서나 중국에서나 세계 어디의 누구라도 부처의 마음(佛印)을 가지고 있다. 진리의 바람(宗風)이 휘날리니, 그대는 앉아있기만 하면 된다. 잡념을 차단하고 확실하게 안정하여야 한다.
비록 수천만의 분별이 있다고 할 지라도 전심전력으로 좌선에 몰입하여야 한다. 왜 고향집을 버려두고 쓸데없이 속진에서 방황하는가. 한발자국만 잘못 내디뎌도 눈앞의 수렁에 빠져버린다. 

인간 몸 받기 어려운데 천운의 행운을 얻었으니, 헛되이 밤낮을 보내버리지 말아야 한다. 금생에 불도를 만났으니, 부싯돌 빤작하는 이 순간을 어찌 놓칠까보냐. 물질과 현상은 풀잎의 이슬과 같고, 인간의 행운이란 번갯불과도 같이 허망한 것이다. 그것은 순간적으로 사라지고, 허망하게 없어진다. 
훌륭한 수행자들(參學高流)이여. 오랜세월 코끼리 흉내 냄을 버리고, 참된 용(眞龍)을 찾는데 의심치 말라. 
곧바로 도를 찾는 일에 정력을 쏟을 것이며, 공부를 다 해 마친 자유인(絶學無爲人)을 존숭할 지어다. 

그리고 부처의 지혜를 함께 하고, 조사의 삼매를 전승할 지어다. 그렇게 오랜 세월 지내다 보면 스스로 부처가 되고 조사가 된다. 보배의 창고는 저절로 열려 있으니, 그것을 쓰고 안 쓰고는 그대 에게 달린 일이다.


-----------------------------

도겐선사의 보권좌선의..

묵조선의 수행방법으로 좌선할 때 바른 자세를 갖추고

참선에 임한다.


출처

안타이지  - 보권좌선의

반응형

'진리탐구 > 동양영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가] 채근담 82장  (0) 2018.02.27
붓다의 깨달음과 사상 - 아난다여  (0) 2018.02.27
[중국불교] 김교각스님  (0) 2017.12.20
[불가] 좌선의 - 도겐  (0) 2017.09.20
[도가] 신선전 정리 - 10  (0) 2017.08.26
[도가] 신선전 정리 - 9  (0) 2017.08.26
[도가] 신선전 정리 - 8  (0) 2017.08.26
[도가] 신선전 정리 - 7  (0) 2017.08.2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