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진리탐구/동양영성

[불가] 좌선의 - 도겐

by 하늘의흐름 2017. 9. 20.
반응형

좌선의(坐禪儀) 
좌선의 방법


참선이란 좌선을 뜻한다.
좌선을 하기에는 조용한 곳이 가장 좋다. 두꺼운 방석을 바닥에 깐다. 바람이나 안개가 끼지 않도록 하고, 혹은 비나 이슬이 맺히지 않는 곳을 택한다. 않은 자리를 편안히 유지하다록 한다. 옛사람들은 금강보좌에 앉거나 혹은 바윗돌 위에 앉았다. 앉을 때는 풀을 두껍게 깔고 앉았다

앉은 곳이 어둡지 않도록 한다. 밤이나 낮이나 어둡지 않도록 유지해야 한다. 겨울에 춥지 않고 여름에 덥지 않아야 한다. 모든 관계를 끊고 일을 쉰다. 선(善)도 생각하지 않고 악(惡)도 생각하지 않는다. 좌선은 지적 사고나 의도나 의식과는 아무 상관이 없다. 기억이나 상상, 혹은 숙고와도 상관이 없다. 부처가 되려고도 생각하지 말아야 한다. 앉거나 눕는 것에도 차별상을 두어서는 안된다. 그리고 먹고 마시는 것을 절제해야 한다. 시간을 빈둥빈둥 보내지 말고 좌선을 열심히 하되, 마치 머리 위에 붙은 불을 끄듯이 해야 한다. 황매현 쌍봉산의 오조 스님은 오로지 좌선만을 실천하셨다. 좌선을 할 때에는 가사를 입고 방석을 사용한다. 방석에 다리를 모두 올려놓아서는 안되고, 다만 엉덩이만 걸치도록 한다. 결국 다리는 바닥에 있고 척추만 방석위에 있게 된다. 부처님이나 조사님들도 이런 방식으로 좌선수행을 하셨다.

앉을 때에는 반가부좌나 결가부좌를 하도록 한다. 결가부좌를 할 때에는 오른 발을 왼쪽 장딴지 위에 올려놓고, 왼쪽 발은 오른 장딴지 위에 올려놓는다. 발가락 끝의 선이 허벅지 밖으로 나가지 않게 일직선이 되도록 한다. 반가부좌 시에는 왼발을 오른쪽 허벅지 위에 올려놓기만 하면 된다. 의복과 가사는 꼭 조이지 않도록 한다. 오른 손을 왼발 위에 올려 놓는다. 그리고 왼 손은 오른손바닥 위에 올려 놓는다. 엄지손가랄 끝은 살짝 붙인다. 두손을 이렇게 하여 몸에 가까이 둔다. 그러면 엄지손가락은 배꼽 부위에 위치하게 된다.

등을 똑바로 세우고 앉는다. 몸이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기울지 않도록 한다. 귀가 어깨와 일치하도록 하고, 코는 배꼽에 일치시킨다. 그리고 혀는 입천장에 위치시킨다. 입술을 다물고, 숨은 코로 쉬는 것이다. 눈은 뜨는데 너무 크게 뜨거나 너무 작게 떠서는 안된다. 몸과 마음을 안착시키고 숨을 크게 들이마셔 뱉는다..

삼매에 들어서 고요히 앉아 있는다. 무상(無想,생각 없음, not-thinking)을 생각한다. 어떻게 무상을 생각하는가? 그것은 생각 너머의 생각이다. 이것이 법(dharma)에 따른 좌선의 방법이다. 좌선이란 명상을 배우는 것이 아니다. 좌선 그 자체가 위대한 평화와 즐거움에 이르는 법(法)의 문이다. 이것이 깨끗한 수행의 실천이다.

정법안장 좌선의 제 11권 관원 원년(寬元元年, 1243년) 11월 월주 길전현 (越州吉田縣, 에츠슈 요시다껜) 길봉정사(吉峰精舍, 요시미네 쇼쟈)에서.


참고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