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진리탐구/동양영성70

[도가] 포박자 포박자(抱朴子)는 저자인 갈홍(葛洪;283~343)의 도호입니다.그 뜻은 박을 안은 사람이란 뜻입니다.박은 인간이 손대지 않은 자연의 순수성을 대표하는 말로 쓰입니다. 그의 사상은 주역참동계의 영향을 받았습니다.주역참동계는 신선도를 논하는 책으로후한(동한) 때 위백양((魏伯陽)이 저술했습니다. 또한 종조부(從祖父)인 갈현(葛玄)의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갈현은 태극갈선옹(太極葛仙翁)이라는 별호를 가지고 있고,삼국지의 오나라(229~280, 4대 52년)사람이라고 합니다.갈홍은 그에 따라서 소갈선옹(小葛仙翁) 이라고 불렸다고 합니다. 갈현의 스승이 좌자입니다. 좌자의 방술은 당대에 최고였다고 합니다. 갈홍의 스승은 정은(鄭隱)이었는데, 정은은 갈현에게 연단술을 배웠습니다.즉, 좌자->갈현->정은->갈홍 이.. 2017. 8. 11.
[동양학] 동양의 시간 개념 - 년도와 월 동양의 시간개념은 10 천간과 12지지를 기본을 합니다. 천간 (십간) 천간은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를 말합니다.다른말로 십간이라고도 부릅니다.갑목, 을목, 병화, 정화, 무토, 기토, 경금, 신금, 임수, 계수로각 천간은 고유한 속성을 가집니다. 갑목은 목이지만 큰 나무인 양목을을목은 목이지만 작은 풀인 음목을 병화는 화이지만 큰 불인 양화를정화는 화이지만 작은 불인 음화를 무토는 토이지만 큰 흙(산)인 양토를기토는 토이지만 작은 흙(언덕)인 음토를 경금은 금이지만 큰 금인 양금을신금은 금이지만 작은 금인 양금을 임수는 수이지만 큰 물(깨끗한)인 양수를계수는 수이지만 작은 물인 음수를 뜻합니다. 지지 (십이지) 꾸러기 수비대 노래에 나왔던열두동물을 한자로 바꾸면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죠. 자 : 쥐, 속성은.. 2017. 7. 10.
[불교] 선자화상 게송 偈頌 ( 게송 ) 화정 선자화상 ( 華亭 船子和尙 ) 千尺絲綸直下垂 ( 천척사륜직하수 )一派재動萬派隨 ( 일파재동만파수 )夜靜水寒魚不食 ( 야정수한어불식 )滿船空載月明歸 ( 만선공재월명귀 ) ( 千尺絲綸直下垂 ) 긴 낚싯줄을 아래로 곧장 드리우니 ( 一派재動萬派隨 ) 한 물결 일렁이자 일만 물결 움직이네. ( 夜靜水寒魚不食 ) 고요한 밤 물이 차니 고기는 입질 않고 ( 滿船空載月明歸 ) 빈 배 가득 밝은 달만 싣고 돌아오네. 2017. 6. 24.
[불교/상좌부] Doing Time Doing Vipassana 위빠사나에 대한 동영상입니다. 두잉 타임 두잉 위빠사나~~ 출처 - 담마 코리아 제공 2017. 6. 22.
[불교] 초기불경 - 니까야 정리 니까야가 한자로 번역되어 아함경이 되었다.니까야는 팔리어 경전들을 말한다.초기경전이라고도 한다. 총 5부로 되어 있다. 1.디가 니까야 (한역: 장아함경, 장부)첫번째 경전 묶음으로 길이가 긴 경의 모음이다.총 34개 경에 3품으로 나눠져 있다.- 실라칸다박가, 계온품 13경- 마하박가, 대품 10경- 빠띠까박가, 당학품 11경 2.맛지마 니까야 (한역:중아함경, 중부)두번째 경전 묶음으로 중간 길이의 경을 모은 것이다.팔리어로 맛지마는 중간이라는 뜻이다.디가 니까야보다는 길이가 짧고, 앙굿따라 니까야 보다는 길이가긴 경이 대부분이지만 일부는 길이가 매우 짧다.총 154개 경에, 50경씩(마지막편만 52경), 3편(부).. 3. 상윳따 니까야 (한역:잡아함경, 상응부)세번째 경전 묶음으로, 짧은 길이의 .. 2017. 6. 22.
[한국] 천도교경전 출처천도교홈페이지 - 자료실 2017. 5.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