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진리탐구/동양영성66

[불교] 자애경(Metta sutra) - 법정스님 자애경(법정스님) 1.사물을 통달한 사람이 평화로운 경지에 이르러 해야할 일은 다음과 같다. 유능하고 정직하고 말씨는 상냥하고 부드러우며 잘난 체하지 말아야 한다. 2.만족할 줄 알고 많은 것을 구하지않고 잡일을 줄이고 생활을 간소하게 하며, 모든 감각이 안정되고 지혜로워 마음이 흐트러지지 않으며 남의 집에 가서도 욕심을 내지 않는다. 3.현명한 사람들로부터 비난을 살 만한 비열한 행동을 결코 해서는 안 된다. 살아 있는 모든 것은 다 행복하라. 평안하라.안락하라. 4.어떠한 생물일지라도 약하거나 강하고 굳세거나 그리고 긴 것이건 짧은 것이건 중간치건,굵은 것이건,가는 것이건 또는 작은 것이건 큰 것이건 5.눈에 보이는 것이나 보이지 않는 것이나, 멀리 살고 있는 것이나 가까이 살고 있는 것이나, 이미 .. 2023. 12. 26.
[동양영성/불교] 일곱 가지 청정 일곱 가지 청정(visuddhi, 淸淨)은 상좌부 불교에서 교학과 수행체계를 설명하는 중요한 가르침이다. 7청정의 주제는 ①계청정(戒淸淨, sila-visuddhi), ②마음청정(心淸淨, citta-visuddhi), ➂견청정(見淸淨, diㅁhi-visuddhi), ➃의심을 극복함에 의한 청정(度疑淸淨, kaṅkhā-vitaraㅁa-visuddhi), ➄도와 도 아님에 대한 지(知)와 견(見)에 의한 청정(道非道智見淸淨, maggāmagga-ñāṇa-dassana-visuddhi), ➅도 닦음에 대한 지와 견에 의한 청정(行道智見淸淨, paṭipadā-ñāṇa-dassana-visuddhi), ➆지와 견에 의한 청정(智見淸淨, ñāṇa-dassana-visuddhi)의 일곱 가지이다. ①계청정은 계목의 .. 2023. 7. 2.
[불교] 무거운 업 - 목갈라나 존자의 사례 (오무간업) 목갈라나 존자의 일화 부처님 당시에 외도들에겐 보시가 들어오지 않고 불교 승단에만 보시가 많이 들어오자 외도들이 그 원인을 알아보았습니다. 그랬더니 목갈라나 존자가 수시로 욕계 천상 중의 하나인 삼십삼천에 올라가서 그곳의 천인들에게 "어떤 업을 지어서 천상에 태어났느냐?"고 물어보고, 또 지옥에 가서도 "어떤 악업을 지어서 여기 왔느냐?"고 물어본 다음 인간 세상으로 돌아와 사람들에게 그 이야기를 들려준다는 것이었습니다. 이 이야기를 듣고 신심을 낸 사람들이 불교 승단에 보시를 많이 하는 것으로 판단한 외도들은 강도들을 시켜 목갈라나 존자를 죽이려고 합니다. 하지만 신통이 뛰어난 목갈라나 존자는 첫 번째, 두 번째 시도를 무사히 넘깁니다. 그런데 세 번째로 강도들이 찾아온 순간 전생의 악업이 성숙하면서 .. 2022. 5. 20.
[주역] 고형의 주역점 주역도 최근에 다양한 유물들과 연구자들의 성과로 발전을 많이 했다. 복서와 서죽 거북이 배딱지에 하는 복서.占 등껍질이라고 관행적으로 말하는데, 등짝은 너무 단단해서 못쓴다. 배딱지가 그나마 무르기 때문에 문자나 숫자를 새기기 좋았다. 지금으로 치면 A4용지 혹은 고급종이라고 할 수 있다. 국가와 관련된 점복은 거북이 배딱지로 했다고 할 수 있고, 격이 낮은 것은 거북이 배딱지가 아니라 짐승의 뼈를 가지고 했다. 산가지로 하는 서죽. 筮 50개의 산가지로 하는 것인데, 산목이라고도 한다. 정해진 규격은 없으나 손에 들 수 있을 정도로 작고 가벼워야 한다. 주판이 보급되기 전에는 산가지로 숫자를 셈하기도 했다. 즉 고대의 계산기 역할을 했다. 고고역 그리고 유물들에서 발견되는 숫자기호들 과거 점의 흔적들로.. 2022. 3. 16.
[동양] 주역 특수문자 주역은 유니코드 특수문자가 지원된다. 한글hwp 문서에서는 함초롱체? 폰트에서 지원한다. 주역은 영어로 이칭(I Ching)이라고 함 태극 ☯ 음양 ⚊ ⚋ 사상 : 태양 소음 소양 태음 ⚌ ⚍ ⚎ ⚏ 팔괘 (건, 태, 리, 진, 손, 감, 간, 곤) ☰ ☱ ☲ ☳ ☴ ☵ ☶ ☷ 64괘(Yi Yijing 64)도 문자로 표현 가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2. 2. 10.
주역점: 동효의 수에 따른 변화 주역은 6개의 효를 얻어서 하나의 괘를 얻는다. 이떄 변효를 얻을 수 있는데, 변효는 0개부터 6개까지 얻을 수 있다. 변효는 동효라고도 하며, 동효가 1개 이상이면 본래의 괘에서 변화한 지괘를 얻게 된다. 본괘는 변화하기 전의 상황이고, 지괘는 변화하는 상황을 의미한다. 동효가 3개 이상이면 지괘를 중심으로 보면 된다. 이때는 본괘의 상황과 지괘의 상황 중에서 지괘의 상황이 더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물론 복잡도도 높아진다. 따라서 변효가 많아지면 변효를 하나로 줄이던가, 특정 부분을 중심으로 보게 되는데, 이때의 방법은 한가지가 아니라 여러가지이다. 변효가 한 개도 없다 : 본괘의 괘사를 적용 1개의 효가 변효 : 본괘의 변효의 효사를 적용 2개의 효가 변효 : 본괘의 변효 2개 중에서, 위에 위.. 2021. 11.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