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약의 이름들
처음 막막하게 보이던 중국식 약이름을 자신의 생활 속에서 흔히 대할 수 있던 실제의 것과 분별할 만큼 되었다.
호마(胡麻)라고 써 있는 건 참깨, 백유마(白油麻)가 흰참깨, 안방(雁肪)이 기러기 기름, 해마(海馬)가 찰개구리, 도핵인(桃核仁)이 복숭아씨, 행핵인(杏核仁)이 살구씨, 고채(苦菜)가 씀바귀, 흔하게 듣던 시호탕의 시호(柴胡)는 묏미나리, 맥문동(麥門冬)은 겨우살이 뿌리, 인동(忍冬)은 겨우살이 덩굴, 당귀(當歸)는 승검초 뿌리, 그밖에 구기자(拘杞子)는 괴좆나무, 같은 괴좆나무도 그 뿌리를 까발긴 껍질은 지골피(地骨皮), 심지어 대산·소산·야산 중에서 대산이 큰 마늘, 소산이 원래 씨가 작은 마늘, 야산이 달래라는 걸 알아내고 일일 맛을 씹어보며 지내는 동안 허준의 몸에서는 이젠 씻어도 씨어도 지울 수 없는 지리산 약초 냄새가 깊이 배어버리고 말았다.
- <소설 동의보감 상> 139p
반응형
'건강섭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행생식요법] 감기에 걸렸을 때 (0) | 2018.06.03 |
---|---|
[오행생식요법] 몸 건강, 맘 건강, 얼 건강 그리고 자유인 (0) | 2018.06.02 |
[오행생식요법] 오행에 대하여 (0) | 2018.05.29 |
[오행생식요법] 금기가 약한 사람의 처방 (간대폐소) (0) | 2018.05.29 |
[한의학] 서른세 가지 물 (0) | 2018.05.11 |
[한의학]보리와 쌀 (0) | 2018.05.10 |
[한의학] 신형장부론(身形臟腑論) (0) | 2018.05.10 |
[한의학] 의서의 종류들 (0) | 2018.05.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