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진리탐구215

[동양] 주역 특수문자 주역은 유니코드 특수문자가 지원된다. 한글hwp 문서에서는 함초롱체? 폰트에서 지원한다. 주역은 영어로 이칭(I Ching)이라고 함 태극 ☯ 음양 ⚊ ⚋ 사상 : 태양 소음 소양 태음 ⚌ ⚍ ⚎ ⚏ 팔괘 (건, 태, 리, 진, 손, 감, 간, 곤) ☰ ☱ ☲ ☳ ☴ ☵ ☶ ☷ 64괘(Yi Yijing 64)도 문자로 표현 가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2. 2. 10.
[수행자] 데즈먼드 음포 투투 - 아프리카 평화의 대부 이 상(노벨평화상)은 역 앞에 앉아 감자와 옥수수, 돼지고기를 파는 우리 어머니들의 것입니다. 이 상은 1년 가운데 11개월을 자녀들과 떨어져 독신 숙박소에서 밤을 지새우는 우리 아버지들의 것입니다. 이 상은 보금자리를 산산히 파괴당한 채 수용소에서 비에 젖은 매트에 앉아 우는 아이를 달래며 지은 죄라고는 남편과 함께 살고 싶어하는 어머니들의 것입니다. 이 상은 마치 쓰레기처럼 이리저리 쫓겨다니는 이 땅의 350만 흑인들을 위한 것입니다. 이 상은 우리들을 평화를 사랑하는 사람들이라고 인정해준 것입니다. - 노벨평화상 수상 소감 2021년 12월 27일에 데스몬트 투투 대주교가 타계했습니다. 세상을 비추던 별이 떠난 것이지요. 노벨평화상 수상자이기도 하신데, 열심히 활동하시다가 받게 되신 것이지요. 우리.. 2021. 12. 27.
주역점: 동효의 수에 따른 변화 주역은 6개의 효를 얻어서 하나의 괘를 얻는다. 이떄 변효를 얻을 수 있는데, 변효는 0개부터 6개까지 얻을 수 있다. 변효는 동효라고도 하며, 동효가 1개 이상이면 본래의 괘에서 변화한 지괘를 얻게 된다. 본괘는 변화하기 전의 상황이고, 지괘는 변화하는 상황을 의미한다. 동효가 3개 이상이면 지괘를 중심으로 보면 된다. 이때는 본괘의 상황과 지괘의 상황 중에서 지괘의 상황이 더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물론 복잡도도 높아진다. 따라서 변효가 많아지면 변효를 하나로 줄이던가, 특정 부분을 중심으로 보게 되는데, 이때의 방법은 한가지가 아니라 여러가지이다. 변효가 한 개도 없다 : 본괘의 괘사를 적용 1개의 효가 변효 : 본괘의 변효의 효사를 적용 2개의 효가 변효 : 본괘의 변효 2개 중에서, 위에 위.. 2021. 11. 11.
[음양오행] 태극추론 양지를 양기로 하고, 양기를 밝음이라고 정의한다. 음지를 음기로 하고, 음기를 어두움이라고 정의한다. 양기 속에 어둠이 있으니 양중음이고, 음기 속에 밝음이 있으니 음중양이라 한다. 따라서 4가지 기운이 밝혀지는데, 주역의 용어를 따라 태양, 태음, 소음, 소양이 된다. 소음은 상괘에 음기가, 소양은 상괘에 양기가 있다. 소음은 하괘에 양기가, 소양은 하괘에 음기가 있다. 그래서 소음, 소양은 겉과 속이 다르고, 태양, 태음은 겉과 속이 같다. 따라서 소인은 겉과 속이 다르고 군자는 겉과 속이 같다. 4라는 숫자는 사물의 균형을 의미한다. 3이라는 숫자는 생명체의 조화를 의미한다. 사물은 움직이지 않지만 생명의 영향을 받고 생명은 움직이면서 사물에 영향을 준다. 균형은 움직임을 멈추는 것이고, 조화는 움.. 2021. 10. 15.
[주역점] 하늘에게 묻다 - 서울시장보궐선거 최근에 시험삼아 척전법으로 주역점을 처보았다. 재미있는 내용이 될 거 같아 공유해둔다. 1. 묻는 일(占事) 2021년 04월 07일에 진행하는 서울시장보궐선거에서 박영선 후보가 당선됩니까? 2. 얻은 괘(卦) 수뢰둔괘 : 육이와 육사가 동효, 단동법을 사용해 육사를 동효로 설정함. 수뢰둔괘 육사가 동해서 택뢰수괘가 됨 (둔위수) 3. 『주역』의 해당 괘사·효사 내용 수뢰둔(屯)괘 괘사 屯, 元亨, 利貞, 勿用有攸往, 利建侯. 둔은 크게 형통하고 곧음이 이로우니, 갈 바를 두지 말고 후를 세움이 이롭다. 효사(육사) 六四, 乘馬班如, 求婚媾, 往, 吉, 无不利. 육사는 말을 탔다가 내려옴이니, 배우자를 구하여 가면 길하여 이롭지 않음이 없으리라. 象曰, 求而往明也 (상왈 구이왕명야) 상전에 이르길, 구하.. 2021. 3. 21.
[그리스도교/천주교] 대송 대송은 (필참해야 되는) 주일미사에 참석할 수 없을 때, 부득이 하게 미사 대신 바치는 것을 말합니다. 전통적으로 주님의 기도 33번을 바치라고 하는데, 공식적으로는 묵주기도 5단을 바치고, 그날의 복음을 읽고 묵상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참고 : 주일미사의 의무를 대신하는 '대송' 방법은? - 신갈성당 2021. 1.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