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진리탐구215

[천주교] 평화를 구하는 기도 주여!저를 당신의 평화의 도구로 써 주소서.미움이 있는 곳에 사랑을다툼이 있는 곳에 용서를분열이 있는 곳에 일치를의혹이 있는 곳에 신앙을그릇됨이 있는 곳에 진리를절망이 있는 곳에 희망을어두움에 빛을슬픔이 있는 곳에기쁨을 가져오는 자 되게 하소서.위로받기보다는 위로하고이해받기보다는 이해하며사랑받기보다는 사랑하게 하여 주소서.우리는 줌으로써 받고용서함으로써 용서받으며자기를 버리고 죽음으로써영생을 얻기 때문입니다. - 아씨시의 성 프란치스코 2024. 9. 14.
[천주교] 성 이냐시오 로욜라의 기도 성 이냐시오 로욜라의 기도 주여 나를 받으소서나의 모든 자유와 나의 기억과 지성과 의지와저에게 있는 모든 것과 제가 소유한 모든 것 받아주소서. 주님께서 이 모든 것을 저에게 주셨나이다.주여 이 모든것을 주님께 도로 바치나이다.모든것이 다 주님의 것이오니완전히 주님의 뜻대로 주관하소서저에게는 주님의 사랑과 은총만을 허락하소서 2024. 9. 14.
[그리스도교] 묵주기도 5단 묵주의 기도 5단 묵주기도의 순서 OO의 신비 O 단, 블라블라( 해당하는 요일의 신비를 바친다.) 주기도문(하늘에 계신) 1회 성모송(은총이 가득하신) 10회 영광송(영광이 성모와) 1회 묵주기도를 다 바치고 나면 마지막으로 성모찬송(모후이시며)을 바친다. 환희의 신비(월, 토) 환희의 신비 1단, 마리아께서 예수님을 잉태하심을 묵상합시다. 환희의 신비 2단, 마리아께서 엘리사벳을 찾아보심을 묵상합시다. 환희의 신비 3단, 마리아께서 예수님을 낳으심을 묵상합시다. 환희의 신비 4단, 마리아께서 예수님을 성전에 바치심을 묵상합시다. 환희의 신비 5단, 마리아께서 잃으셨던 예수님을 성전에서 찾으심을 묵상합시다. 고통의 신비(화, 금) 고통의 신비 1단, 예수님께서 우리를 위하여 피땀흘리심을 묵상합시다. 고.. 2024. 4. 14.
[불교] 자애경(Metta sutra) - 법정스님 자애경(법정스님) 1.사물을 통달한 사람이 평화로운 경지에 이르러 해야할 일은 다음과 같다. 유능하고 정직하고 말씨는 상냥하고 부드러우며 잘난 체하지 말아야 한다. 2.만족할 줄 알고 많은 것을 구하지않고 잡일을 줄이고 생활을 간소하게 하며, 모든 감각이 안정되고 지혜로워 마음이 흐트러지지 않으며 남의 집에 가서도 욕심을 내지 않는다. 3.현명한 사람들로부터 비난을 살 만한 비열한 행동을 결코 해서는 안 된다. 살아 있는 모든 것은 다 행복하라. 평안하라.안락하라. 4.어떠한 생물일지라도 약하거나 강하고 굳세거나 그리고 긴 것이건 짧은 것이건 중간치건,굵은 것이건,가는 것이건 또는 작은 것이건 큰 것이건 5.눈에 보이는 것이나 보이지 않는 것이나, 멀리 살고 있는 것이나 가까이 살고 있는 것이나, 이미 .. 2023. 12. 26.
[동양영성/불교] 일곱 가지 청정 일곱 가지 청정(visuddhi, 淸淨)은 상좌부 불교에서 교학과 수행체계를 설명하는 중요한 가르침이다. 7청정의 주제는 ①계청정(戒淸淨, sila-visuddhi), ②마음청정(心淸淨, citta-visuddhi), ➂견청정(見淸淨, diㅁhi-visuddhi), ➃의심을 극복함에 의한 청정(度疑淸淨, kaṅkhā-vitaraㅁa-visuddhi), ➄도와 도 아님에 대한 지(知)와 견(見)에 의한 청정(道非道智見淸淨, maggāmagga-ñāṇa-dassana-visuddhi), ➅도 닦음에 대한 지와 견에 의한 청정(行道智見淸淨, paṭipadā-ñāṇa-dassana-visuddhi), ➆지와 견에 의한 청정(智見淸淨, ñāṇa-dassana-visuddhi)의 일곱 가지이다. ①계청정은 계목의 .. 2023. 7. 2.
공자가 바라본 안회 공자는 안회를 수제자로 여겼다. 그래서 안회가 죽었을 때 슬피 울었다. 평소에도 공자는 안회가 처음에는 둔한 사람이라고 생각했는데, 그의 행실을 보고 생각을 고쳤다고 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내가 회와 말을 할 때 보면, 종일토록 거부하지 않아 마치 어리석은 사람 같았다. 그러나 물러나와 그가 개인적으로 행동하는 것을 살펴보니, 또한 내가 말해준 것을 잘 실천하고 있었다. 회는 어리석은 사람이 아니었다." - 위정편 9징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교육시키는 것이 세 가지 즐거움 중 하나라고 맹자는 말했다. 안회를 가르칠 때의 공자는 교육자로서 만족스러웠을 것이다. 애공이 물었다. "제자 중에 학문을 좋아하는 사람이 누구입니까" 공자께서 대답하셨다. "안회라는 자가 있었는데, 학문을 좋아하여 노여움을 옮.. 2023. 4.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