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천건(重天亁,1)
乾 元亨利貞
건 원형리정
원형리정은 쉽게 생각하면 4계절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원은 봄, 형은 여름, 리는 가을, 정은 겨울로요.
각 계절은 반복 순환합니다. 이는 끊어지지 않고 계속 변화함을 의미합니다.
시작되고, 자라나고, 이루어지고, 완성된다는 일의 흐름으로 이해할 수도 있습니다.
예컨데 하늘의 이치는 끊어지지 않고 계속 변화한다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初九 潛龍 勿用
초구 잠룡 물용
초구는 아래에서 첫번째 양(陽)을 의미합니다.
6개의 효중에서 가장 밑에 있는 효가 초구입니다.
참고로 효가 양이면 구(九), 음이라면 육(六)이라고 합니다.
잠룡은 물속에 있는 용으로 어린용, 때를 기다리는 용으로 풀이할 수 있습니다.
순수한 양으로 가득차 있어서 용은 맞지만 시기가 아직 일러 쓸 수 없음을
의미합니다. 또한 능력도 아직 부족한 상태이구요.
잠룡이란 단어는 뉴스에서 주로 대통령 후보를 가리켜 쓰는 말입니다.
아직 물 속에서 헤엄치고 있으니, 이무기 같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아직은 진정한 용이 되지 못한 것이지요.
물용은 사용하지 말라는 의미입니다.
초구가 움직이면 천풍구괘가 됩니다. 구괘는 만남이란 뜻인데,
구괘의 괘사에서는 아직 만나기에는 너무 이르다라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1
九二 見龍在田 利見大人
구이 현룡재전 이견대인
구이는 아래에서 두번째 양을 의미합니다.
이제 초구 때보다 시간적으로 성숙했습니다.
위치상으로 내괘에서 중(中)에 위치한 상태입니다.
일반적으로 중에 위치해 있으면 길한 것으로 봅니다.
현룡재전은 밭에 용이 나타났다는 의미가 됩니다. 용이 물에서 나왔으니
용의 모습과 용의 능력을 조금씩 보여줘야겠지요.
이견대인이란 이제는 대인, 곧 스승이나 멘토 혹은 귀인을
만나서 가르침을 배우고 두각을 나타나는 것이 이롭다는 의미입니다.
스티브 잡스가 워즈니악을 만난 것, 유비가 제갈량을 만난 것.
두 사건 모두 용이 대인을 만난 사건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때의 만남은 들에서 만나듯이 해야 하는데, 들에서 만난다는 뜻은
사심 없이(숨겨둔 병력없이) 공명정대하게 만난다는 뜻입니다.
천화동인 괘사 에서 들에서 만난다는 이야기가 나오는데, 2
구이가 움직이면 천화동인괘가 됩니다.
九三 君子 終日乾乾 夕惕若 厲无咎
구삼 군자 종일건건 석척약 여무구
구삼은 아래에서 세번째 양을 의미합니다.
한줄로 번역하면
군자가 종일 힘쓰고 어두움을 조심하면 고생스러울지라도 허물이 없다.
라는 말이 되겠네요.
군자는 자기에게서 잘못을 찾는 사람입니다.
종일건건은 힘써 도를 행한다는 뜻입니다.
석척약은 어둠을 삼가 조심한다는 의미입니다.
여무구는 고생하더라도 허물이 없다는 뜻이죠.
리(履)의 의미는 실행인데, 호랑이의 꼬리를 밟을 수 있으니
조심스럽게 행동해야 한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九四 或躍在淵 无咎
구사 혹약재연 무구
구사는 아래에서 네번째 양을 의미합니다.
구사는 혹 뛰어 못에 있으면 허물이 없으리라. 라는 의미인데요.
도전을 했다가 실패한다고 해도 허물이 없으리라는 의미로 받아 들일 수 있겠습니다.
소축은 작게 축적한다는 의미입니다. 크게 이익을 보긴 어려워도 작게 이익을 볼 수 있다는 뜻을 함축하고 있어보이네요.
九五 飛龍在天 利見大人
구오 비룡재천 이견대인
구오는 아래에서 다섯번째 양을 의미합니다.
하늘에 용이 있다. 대인을 만나봄이 이롭다. 라는 뜻이 됩니다.
전성기를 맞이한 용이 하늘을 날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때 자기 혼자만 생각할 것이 아니라
자기를 여기까지 오게 도와준 귀인들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또한 구오는 군주의 자리입니다. 가장 존귀한 자리까지 올라간 것이죠.
구오가 움직이면 화천대유괘가 됩니다. 대유는 크게 있음이니 군주의 자리와 어울린다고 하겠습니다. 5
上九 亢龍 有悔
상구 항룡 유회
상구는 가장 위에 있는 양을 말합니다.
상구는 높은 용이니 뉘우침이 있을 것이다. 라는 의미입니다.
이제는 너무 높이 올라가버려서 후회가 있다는 것입니다.
즉 왕의 뜰에서 발표해서 모두에게 알리고, 위태롭게 함은 위엄있게 진행한다는 의미입니다.
읍으로부터 고함은 구석구석에 사는 백성들에게 알린다는 뜻입니다.
이를 알리는 것은 공개적으로 홀로남은 상육(양에서 음이된 상태)을 처단하기 위해서 입니다.
그렇게 되면 양의 세상, 군자의 세상이 되니 말이죠.
用九 見群龍 无首 吉
용구 견군룡 무수 길
용구는 뭇 용을 보되(뭇 용이 나타나되) 머리함이 없으면 길할 것이다.
용구는 여섯효가 모두 동효일 때 사용하는 특수한 효사입니다.
여러용들이 서로 최고가 되려고 경쟁하면 오히려 그 경쟁에서
빠져나와 새로운 길을 모색하는 것이 낫다는 교훈을 주네요.
- 구(姤)는 여자가 씩씩하니 여자를 취하지 말라. [본문으로]
- 천화동인 괘사: 同人于野(동인우야)면 亨(형)하리니 利涉大川(이섭대천)이며 利君子(이군자)의 貞(정)하니라. [본문으로]
- 천택리괘의 괘사 : 履虎尾(리호미) 不咥人(부질인) 亨(형). 호랑이의 꼬리를 밟았는데 물지 않으니 형통하다. [본문으로]
- 풍천소축괘의 괘사: 小畜(소축)은 亨(형)하니 密雲不雨(밀운불우)는 自我西郊(자아서교)일새니라. 소축은 형통하니 구름이 빽빽하되 비가 오지 않은 것은 내가 서쪽 들(西郊)로부터 하기 때문이다. [본문으로]
- 화천대유괘 괘사: 大有(대유)는 元亨(원형)하니라. 대유는 크고 형통하니라. [본문으로]
- 택천쾌괘의 괘사: 夬(쾌)는 揚于王庭(양우왕정)이니 孚號有厲(부호유려)니라. 告自邑(고자읍)이오 不利卽戎(불리즉융)이며 利有攸往(이유유왕)하니라. 쾌(夬)는 왕의 뜰에서 드날리니, 미덥게 부르짖어 위태롭게 한다. 읍으로부터 고함이요, 군사에 나아감은 이롭지 않으며, 가는 바를 둠이 이롭다. [본문으로]
'진리탐구 > 동양영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역여행] 3. 사상과 오행 그리고 팔괘 (0) | 2025.01.12 |
---|---|
[주역여행] 2. 무극과 태극 그리고 음양 (0) | 2025.01.12 |
[주역여행] 1. 주역에 대하여 (0) | 2025.01.12 |
[불교] 자애경(Metta sutra) - 법정스님 (0) | 2023.12.26 |
[동양영성/불교] 일곱 가지 청정 (0) | 2023.07.02 |
[불교] 무거운 업 - 목갈라나 존자의 사례 (오무간업) (0) | 2022.05.20 |
[주역] 고형의 주역점 (0) | 2022.03.16 |
[동양] 주역 특수문자 (0) | 2022.02.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