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070

[독서후기] 별의계승자 3 별의 계승자 3 - 제임스 P. 호건 지음, 최세진 옮김/아작 생산력이 아무리 증가하더라도, 사람들의 일은 줄어들지 않는 것 같았다. 일이 바뀔 뿐이었다. 만일 노동자들이 노동의 성과를 거두지 못한다면, 누가 그 열매를 가져가는 걸까? 그녀는 전에는 보지 않았던 방식으로 많은 것을 보기 시작했다.- 별의계승자 3, 257p "지식은 모든 형태의 폭정에 맞서는 적입니다. 지식은 역사상 만들어진어떤 이념이나 교리보다 많은 사람을 빈곤과 압제에서 자유롭게 해줬습니다."- 별의계승자 3, 281p, 소브로스킨의 말 2018. 7. 6.
8퍼센트 후기 현재 나의 상황이다. 꾸준히 월급을 받으면 월급의 일부를8퍼센트에 투자하고 있다. 큰돈은 아니지만 조금씩 모이고 쌓여서나중에 큰돈이 될거라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 8퍼센트의 가장 편한점은 자동분산투자기능인 것 같다.5천원만 있으면 자동으로 투자가 된다. 예전에 초기에 잘 모를 때는 만원, 오만원 단위로 투자한 일이 있다.하지만 그 대출건들이 연체에 걸리면서 수익률이 급락하는 일을경험한 적이 있다. 그래서 큰돈을 한군데에 몰아서 투자하는 것은 위험하고,되도록이면 작은 돈으로 나눠서 투자하는 것이 좋다는법칙을 경험적으로 알게 되었다. 아직 큰 돈은 아니지만, 꾸준히 모으면 큰 돈이 될테고,그 돈은 내 생활을 받쳐주는 든든한 버팀목 역할을해줄 것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 아래는 나의 추천인 링크입니다.이 링.. 2018. 7. 5.
[카발라] 생명의 나무 생명의 나무는 총 10개의 세피로트로 구성된다.생명의 나무를 깊이 파면 삼라만상의 이치를 알 수 있게 된다. 생명의 나무에는 3개의 기둥이 있는데, 회색 기둥은 여성성, 음, 부정을 뜻하며, 공의의 기둥이라고 부른다. 흰색 기둥은 남성성, 양, 긍정을 뜻하며, 자비의 기둥이라고 부른다.그리고 가운데는 중도의 기둥이 있다. 그는 성소 현관에 기둥을 세우고, 오른쪽에 세운 기둥의 이름을 야킨이라 하고, 왼쪽에 세운 기둥의 이름을 보아즈라 하였다.열상 7, 21 보아즈는 공의의 기둥을 상징한다.야킨은 자비의 기둥을 상징한다.인간 자신은 중앙의 기둥을 상징한다. 생명의 나무에는 32경로가 있는데, 케테르로 이어지는 길이 1이고, 말쿠트로 이어지는 길이 32번이다. 각 세피로트는 연결되어 있으며, 4중 구조를 가.. 2018. 6. 25.
[독서후기] 다시,페미니즘 다시, 페미니즘 - 이충현 지음/물병자리 요즘 페미니즘 논란으로 세상이 씨끄럽다. 이 책을 통해서 옳고 그름을 따지는 논쟁 속에서 서로가 자신의 옳음만을주장하고 있는 이런 시대에, 뒤로 한걸음 물러서서 정말 페미니즘이란무엇인지, 여성성이란 무엇인지 고민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남자라는 프레임과 여자라는 프레임 속에서 서로 싸우고 있는 동안에는이기기 위한 논쟁을 하고 있을 뿐, 진정한 대화는 그 속에 없다고 생각한다. 여성성이란 무엇인가? 받아들임이다. 그 받아들임은 무조건적으로 보인다.하지만 진정한 여성성은 받아들임으로 그치지 않는다. 받아들임이후에창조의 과정이 있다. 여성에게 아기가 태어나는 것은 새로운 생명체가 창조되는 것이다.이러한 것은 남성은 할 수 없는 부분이다. 다만 남성은 생명체를 창조.. 2018. 6. 23.
태평농법과 자연농법 한동안 일에 치여서, 너무 바빠서잊고 있었던 꿈이 있었다. 바로 자급자족하는 삶이다.자급자족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인데 그 기본은 의식주 중에서도 먹거리부터라고 생각한다. 태평농법 강의를 들으러 아주 오래전에 간 일이 있다.하지만 이제는 너무 오래되어 관련정보들이 가물가물하다. 참고할 만한 책들은 다음과 같다.태평농법을 창시한 이영문과 일본의 노자라고 불렸던 후쿠오카 마사노부의 책을 읽는 것이다. 태평농법은 4무농법을 제창한다.즉, 무농약, 무비료, 무시비, 무경운을 뜻한다. 후쿠오카 마사노부는 삼무농법을 제창했다.즉, 무농약, 무비료, 무제초제를 뜻한다. 태평농법의 창시자 이영문의 책『사람이 주인이라고 누가 그래요?』 2011년 발행『태평이가 전하는 태평농 이야기』 2005년 발행『이 세상에서 .. 2018. 6. 18.
방문객그래프 요즘들어 방문자 그래프가 들쭉날쭉 하다.뭔가 알고리즘이 변한 것은 아닌가 싶다.. 하루 간격으로 100개씩이나 차이가 나다니..이건 좀 심하지 않은가 싶다. 2018. 6.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