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경야독

[건강] 현성의 쟁기로 새 문명의 밭을 갈다 5 : 폐대장편

by 하늘의흐름 2017. 7. 15.
반응형

폐, 대장은 육장육부 중에서
금기에 속한다.
금기는 매운맛을 상징하고,
가을을 상징한다.
또한 의로운 기운, 
서릿발 같이 날이 서고 날카로운 기운을 상징한다.


금기가 많은 사람들은 주로 리더기질이 많은데,

거의 대부분 금기가 많은 사람들이 조직을 세우고

규칙을 만들고, 단체를 이끈다.


발췌


이 시대에는 마음을 닦아 본성(참나)을 찾는 여러 수행법이 많은데,

이 또한 자신의 6장 6부를 건강하게 하며 맥을 바꾸지 아니하고는

요원하다 할 것이다. 현성 선생님께서는 사람이 건강하면

본성이 나오고, 병이 깊을수록 병난 성격이 나온다고 결론지었다. - 5p


우리 선조들은 '마음에 시(氏)가 있다' 하여 마음씨라 했고,

'말에 씨가 있다'하여 말씨라 했으며, '행위(몸가짐)에도 씨가 있다'하여

맵씨라 했던 겁니다. - 23p


무릎이 깨지고 발목 인대가 끊어진 경우는 

사실 침술로 회복시키기가 어렵습니다.

침은 삐었을 때에 효과가 있지만 인대가 끊어진 것처럼

큰 부상을 당한 경우에는 침 놓는다고 해서 부상이 빨리

낫는 게 아닙니다. 이때는 병원에 가서 도움을 받는 것이

현명한 방법입니다. - 29p


7 * 7 = 49 세가 되면 여성들은 폐경기가 오고, 일생에서

금기인 가을로 접어가는 시기가 됩니다.

남자들은 7 * 8 = 56 세가 되면 완전히 가을 금기로 넘어가는데,

이때 모발과 수염이 서리 맞은 것처럼 하얗게 변해갑니다.

봄(木)과 여름(火)동안 잘 키운 아이들은 부모 나이가 49세나

56세쯤 되면 이제 현현장부가 됩니다. - 40p


-> 여자가 7년 단위로 성장하는 것과, 남자가 8년 단위로 성장하는 것은

포박자에 나오는 내용이다.


태과와 불급에 대한 이야기 - 64p

-> 태과의 해는 짝수, 불급의 해는 홀수. 

태과는 그 기운이 크게 넘친다는 것이고,

불급은 약해서 미치지 못한다는 뜻입니다.

태과의 해는 인영맥이 커지므로 인영맥이 큰 사람이

더 위험해지고 불급의 해는 촌구맥이 커지므로

촌구맥이 큰 사람이 더 위험해질 수 있습니다.


*예시

목태과 2012년 - (인영맥이 클 경우) 간, 담이 약해짐

화불급 2013년 - (촌구맥이 클 경우) 심, 소장이 약해짐

토태과 2014년 - (인영맥이 클 경우) 비, 위장이 약해짐

금불급 2015년 - (촌구맥이 클 경우) 폐, 대장이 약해짐

수태과 2016년 - (인영맥이 클 경우) 신장, 방광이 약해짐

목불급 2017년 - (촌구맥이 클 경우) 간, 담이 약해짐

화태과 2018년 - (인영맥이 클 경우) 심, 소장이 약해짐


* 현맥이 나오고 촌구맥이 크면 담경을 보한다. -<간담편> 337p


오독신공

오독신공은 다섯 종류의 독을 제독하는 방법입니다.

먼저 중독된 그 독이 뭔가를 알아야 합니다.

만약 모른다면 지금처럼 맥을 봐서 모맥이면 매운맛을 먹고,

현맥이면 신맛을 먹어 다스리면 제독이 되는 거예요.

-125p


-> 빙초산 -> 목극토,홍맥 -> 비위장이 상함.

매운맛으로 금극목. 겨자, 와사비, 고춧가루, 후추등 이런 매운 것을

강하게 해서 조금씩 물에 타서 먹음


쓴맛의 독, 화극금,모맥, 페대장이 상함.

짠맛으로 수극화. 소금을 먹음.


아스파탐이나 사카린 -> 토극수, 석맥 -> 신장방광이 상함.

신맛으로 목극토. 식초를 사용


신맛이 강한 목기운으로 목극토를 시켜서 일단 사람을 죽지 않게

만들어 놓고, 계속 신맛으로 토기를 다스려 놓으면 결국 제독이

되겠지요. 마찬가지로 석맥이 없어질 때까지 하면 됩니다. - 127p



1성에서 3성까지는 큰 병으로 보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런 경우 영양할 때는 맥이 아닌

체질대로 주는 거예요. - 206p


어른의 경우에도 현맥이면 편안히 자지 못하고

잠을 험하게 잡니다. 또 근육이 굳고 경직되어

아침에 잘 못 일어나는데, 이런 경우에도 

신맛과 쓴맛을 많이 먹어야 합니다. - 213p


과거 백인에게 소금이 얼마나 귀한 것이었는지

아십니까? 유럽 쪽은 소금을 월급으로 줬잖아요.

영어로 소금을 솔트라 하는데, 야채나 푸성귀에

소금을 뿌린 것을 샐러리라 합니다. 옛날에

급여를 소금으로 받아오는 사람을 샐러리맨이라

했습니다. 그러니까 그네들 조상들은 소금을

노동의 대가로 받을 정도로 

그렇게 귀한 물건이라는 뜻입니다. - 221p


맥상변화도 - 227p


새벽 -봄 - 현맥

오전 -여름 - 구맥

오후 -장하 - 홍맥

저녁 -가을 - 모맥

밤    -겨울 - 석맥


낮과 밤은 일출과 일몰을 기준으로 함

낮은 오전, 정오, 오후로

밤은 밤과 새벽으로 나눔

새벽에서 일출이 되면 다시 오전으로 넘어감

 

보름달이 뜰 때, 인력이 상승하고 인영맥이 커짐.

머리에 피가 많아짐. 공상망상이 커지고 심란해짐.

심장이 더 크게 뜀.


그믐달이 뜰 때, 촌구맥이 커짐. 마음이 차분해짐.


임맥 주행상에는 잔중(심포), 거궐(심장), 중완(위장),

신궐(배꼽), 석문(삼초), 관원(소장), 중극(방광)등의

많은 모혈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271p




이 독맥에서는 자신을 통제하고 제어하며,

감시하고 격려하는 기운과, 의지와 신념, 바르게 하려는

정신이 나옵니다. - 277p


앞에서는 실천력이 나오는 임맥이 끌어주고,

뒤에서는 의지와 신념이 나오는 독맥이 

밀어주고 있는 겁니다. - 278p


촌구맥이 크고 인영맥이 작은 사람들은 

물구나무서기를 하면 좋습니다.

반대로 인영맥이 큰 사람이 

물구나무서기를 하면 피가 머리 쪽으로

많이 가기 때문에 좋지 않습니다.  - 282p


벽해선생 사관침술법.

사관이란 네 군데의 관문이란 뜻.

손의 양경 - 합곡혈 2개

발의 음경 - 태충혈 2개

인영맥이 클 때는 합곡을 쓰고

촌구가 클 때는 태충을 씁니다. 

매일 쓰면 절대 안 됩니다.

적어도 3~4일 간격으로 해서

일주일에 두번 정도 쓰는 것이 적당합니다. -292p


     좌      |      우

인영(합곡) | 인영(합곡)

촌구(태충) | 촌구(태충)



사관침술법 - 백호요수 침두 (기력을 환자에게 주는 것) -300p


사관침술법은 무술 하던 사람들이 쓰던 침법.

사관침술법에 나오는 청룡파미나 백호요수와 같은 용어를 보면

옛날 무술 하던 사람들이 쓰던 침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스승이 제자의 맥을 보고 기운이 좋지 않으므로 합곡과 태충 사관혈에

침을 놓게 됩니다. 사관침법을 사용해서 탁기를 빼내고, 내부의 기운을

돌리기 위해 정성을 다해 침을 놓습니다.

 사법을 세 번하고, 퇴법 세 번하고, 괄법 세 번하고, 무법 세번 하고서

청룡파미까지 해서 탁기를 빼냈는데도 정신을 못 차리고 눈을 못 뜹니다.

 그때 바로 스승은 방금 설명한 백호요수 침법을 사용하여 자신의 공력(생명력)을

제자에게 불어 넣어 주게 됩니다. 스승이 한동안 기운을 몰아 불어넣어 주니까

제자가 눈을 뜨고, 혈색이 돌아오고, 모든 기운이 충만해집니다. 그때 스승은

얼굴색이 변하고, 머리털이 다 빠지면서 공력도 소실됩니다. 살신성인하는 침법을

구사한 겁니다. 사람을 살릴 때 이런 침법을 쓰는 거예요.

 젊은 자식을 위해서 쓸 때는 이것을 쓰고, 나머지 경우에는 5번 청룡파미까지만

써도 됩니다. 6번 백호요수는 써도 되지만, 제가 해보니까 기력이 빠지고, 

속이 울렁거리고, 얼굴이 시커매져서 못하겠더라고요.



* 이 권에서는 비위장외에 다른 장부를 영양하는 체조들도

나온다. 결국엔 어떤 장부가 어떤 부위를 지배하는지 알면

해당하는 체조를 정리할 수 있게 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