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경 16장 중에서
夫物芸芸, 各復歸其根. 치허극, 수정독, 만물병작, 오이관복. 부물운운, 각복귀기근. 歸根曰靜, 是謂復命. 復命曰常, 知常曰明. 不知常, 妄作凶. 귀근왈정, 시위복명. 복명왈상 모든 만물은 무성했다가 다시 그 뿌리로 돌아가니 뿌리로 돌아감을 고요함이라 하고, 고요한 것을 명으로 돌아가는 것이라 하고, 명으로 돌아가는 것을 영원함이라 하고, 영원함을 아는 것을 밝음이라 한다. - 83p 도덕경 16장 (도경) 中 진정한 도는 하나로 귀일한다.높은 산으로 오르는 길에는 여러 갈래가 있으나그 정상에 가까워지면, 점점 하나의 길에서 만나게 된다. 하나의 길. 그것을 굳이 이름 붙여 도라고 하며,굳이 이름 붙여 고요함이라 하였다. 참고도덕경16장_무한진인-절구통 - 한자 참고
2017. 9. 5.
오카리나 학습 계획
오카리나를 배우고자 하는 취지사람이라면 모름지기 하나의 악기를 연주할 수 있어야 하는데,그것은 감정을 순화시키고 감흥을 일으켜주며, 감정을 다스리는데 효과가 있다. 사실 동양전통중 유교에서는 군자는 육예를 익혀야 하며, 그 구체적인 종목으로예,악,사,어,서,수를 꼽았다. 예는 예의범절, 즉 매너,악은 악기, 악기를 연주하고 감상하는 일.사는 활쏘기. 오늘로 치면 무술이나 호신술 등이 되겠다.어는 수레몰기. 오늘로 치면 차운전.서는 글쓰기. 그때는 서예였겠지만 오늘날에는 컴퓨터가 대신 써주니, 글솜씨라고 할까..수는 산술. 계산기가 거의 다 해주지만 오늘날로 치면 과학적, 공학적, 이학적 사고방식을 말한다. 그래서 악기 연주는 그 중에 하나다. 오카리나 학습 단계 입문(알토C)오카리나선택(도자기 > 나무 ..
2017. 9.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