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070 마음의 수효 분노의 수효는 하루를 못가고 눈물의 수효는 40일이요, 미소의 수효는 천년이요, 웃음의 수효는 영원이라. 2017. 8. 4. [수행자/인도] 카비르 (Kabir, 1440~1518) 카비르(영어: Kabir, 힌두어: कबीर, 펀자브어: ਕਬੀਰ, 우루두어: کبير, 1440∼1518)는 인도의 철학자, 성자, 시인이다. 원래 비나레스 브라만 계급의 한 과부의 아들이었으나 길거리에 버려진 것을 이슬람 교도의 방직공 부부가 양육하였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비슈누파의 수행자(修行者) 라마난다를 사사(師事)한 뒤부터 유일절대신(唯一絶對神)인 라마(Rama), 즉 범(梵)에 대한 신애(信愛)를 통한 해탈을 주장하였다. 그 설은 힌두교를 근간으로 하면서도 이슬람 교도에 대해서까지 똑같은 해탈을 주장하여 이슬람교·힌두교의 차이를 초월하는 것이 되었다. 예컨대 우상 숭배나 고행, 카스트를 부인하고 일신숭배 등의 이슬람교(특히 수피파)적인 영향을 많이 볼 수 있다. 카비르 자신이 방직공으로서의.. 2017. 8. 4. [오행생식/임상] 오른쪽 가슴 아래 통증 이는 간담은 큰데, 폐대장은 그보다 작아서 간담을 극하지 못하므로 발생한 문제다. 2019.01.22간대폐소, 즉 목형의 상태적 특징은평소에 자비롭고 인자한 상태이며,아프면 화내고 인상 쓰는 상태이다. 치료는 오행 상 매운맛(금기)을 먹는 것으로 해결 된다.좀 더 효과를 보기위해서는 목기를 생하는 에너지인수생목의 수기를 줄일 필요가 있다. 수기는 단맛으로견제할 수 있다. 즉, 신맛과 짠맛을 피하고, 단맛을 먹고, 매운맛을 먹는 것이 좋다. (참고 : 황제내경, 인간의 몸을 읽다. 381p) 이 통증의 정체는 위통증이라고 진단을 내렸다. 실제로 점심시간에 가츠동을 먹게 되었다.이때 후추를 좀 쳐서 먹어보았다. 통증이 한꺼풀 벗겨진 것을 느낄 수 있었다. 후추는 매운맛으로 금기에 속한다. 금기를 먹으면 금극.. 2017. 8. 4. [컴퓨터공학] 언어를 창시한 사람들의 책 (창시자의 책) C언어 창시자의 책 브라이언 커닝햄 Brian W. Kernighan 브라이언 W. 커니핸은 Addison-Wesley사의 Professional Computing Series를 자문하고 있으며, The C Programming Language, The Elements of Programming Style의 공동 저자다. 현재 Lucent Technology의 벨 연구소 컴퓨팅 과학 연구센터에 근무한다. 데니스 리치 Dennis M. Ritchie C++언어 창시자의 책 비야네 스트롭스트룹 BJARNE STROUSTRUP) 비야네 스트롭스트룹(BJARNE STROUSTRUP)은 C++의 설계자이자 창시자이며, 『PROGRAMMING: PRINCIPLES AND PRACTICE USING C++ (.. 2017. 8. 4. [국사] 양서(梁書) 신라전(新羅傳) 양서(梁書) 제이열전(諸夷列傳) 가운데 신라 이야기 新羅者 신라는 其先本辰韓種也 그 선조가 본래 진한(辰韓) 사람이었다. 辰韓亦曰秦韓 진한(辰韓)은 진한(秦韓)이라고도 부른다. 相去萬里 진(秦)과 진한(辰韓)은 서로 만 리나 떨어져 있다. 傳言秦世亡人避役 떠도는 이야기에 따르면 진(秦)나라 때 군(軍)에 가지 않으려고 달아난 사람들이 來適馬韓 마한(馬韓)으로 갔다고 한다. 馬韓亦割其東界居之 마한(馬韓)이 동쪽 땅을 떼어 줘서 도망온 사람들을 살게 하였다. 以秦人 진(秦)나라 사람들이 살므로 故名之曰秦韓 그 땅을 진한(秦韓)이라고 불렀다. 其言語名物有似中國人 말이나 사물 이름이 중원(中原) 사람 말과 비슷하다. 名國爲邦 나라는 방(邦)이라고 부른다. 弓爲弧 활은 호(弧)라고 부른다. 賊爲寇 도적은 구(寇).. 2017. 8. 3. [국사] 양서(梁書) 고구리전(高句麗傳) 양서(梁書) 제이열전(諸夷列傳) 가운데 고구리 이야기 추모(鄒牟) 임금 전설 高句驪者 고구리(高句驪)는 其先出自東明 그 선조가 동명(東明)에서 나왔다. 東明本北夷櫜離王之子 북쪽 오랑캐에 고리(櫜離)라는 나라가 있었다. 동명(東明)은 그 나라 임금 아들이었다. 離王出行 하루는 고리 임금이 궁궐 밖에 나갔다. 其侍兒於後任娠 임금이 나간 다음에 무수리가 아이를 뱄다. 離王還 고리 임금이 돌아와서 欲殺之 무수리를 죽이려고 하였다. 侍兒曰 무수리가 前見天上有氣如大雞子 "앞을 보니 하늘 위에서 큰 달걀 만한 기운이 來降我 쇤네한테 내려 왔습니다. 因以有娠 그리하여 아이를 뱄습니다"하고 말했다. 王囚之 임금이 무수리를 가뒀다. 後遂生男 나중에 사내 아이를 낳았다. 王置之豕牢 임금이 아이를 돼지 우리 안에 버렸다. 豕.. 2017. 8. 3. 이전 1 ··· 90 91 92 93 94 95 96 ··· 17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