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단상

[국사] 양서(梁書) 고구리전(高句麗傳)

by 하늘의흐름 2017. 8. 3.
반응형

양서(梁書제이열전(諸夷列傳가운데 고구리 이야기

 

추모(鄒牟임금 전설

 

高句驪者                고구리(高句驪)

其先出自東明            그 선조가 동명(東明)에서 나왔다.

東明本北夷櫜離王之子    북쪽 오랑캐에 고리(櫜離)라는 나라가 있었다.

                        동명(東明)은 그 나라 임금 아들이었다.

離王出行                하루는 고리 임금이 궁궐 밖에 나갔다.

其侍兒於後任娠          임금이 나간 다음에 무수리가  아이를 뱄다.

離王還                  고리 임금이 돌아와서

欲殺之                  무수리를 죽이려고 하였다.

侍兒曰                  무수리가

前見天上有氣如大雞子    "앞을 보니 하늘 위에서 큰 달걀 만한 기운이

來降我                  쇤네한테 내려 왔습니다.

因以有娠                그리하여 아이를 뱄습니다"하고 말했다.

王囚之                  임금이 무수리를 가뒀다.

後遂生男                나중에 사내 아이를 낳았다.

王置之豕牢              임금이 아이를 돼지 우리 안에 버렸다.

豕以口氣噓之            돼지가 입김을 부니

不死                    아이가 죽지 않았다

王以爲神                임금이 신령한 아이라 생각하고

乃聽收養                어미 말을 들어 거두어 키우게 했다.

長而善射                아이는 자라자 활을 잘 쐈다.

王忌其猛                임금은 아이가 용맹한 것을 싫어하여

復欲殺之                다시 죽이려고 하였다.

東明乃奔走              동명(東明)이 바로 달아났다.

南至淹滯水              남쪽으로 달아나 엄체수(淹滯水)에 이르렀다.

以弓擊水                활로 물을 치자

魚鱉皆浮爲橋            물고기와 자라가 떠올라 다리를 이루었다.

東明乘之得渡            동명은 물고기와 자라를 밟고 강을 건넜다.

至夫餘而王焉            부여(夫餘땅에 이르러 임금이 되었다.

其後支別爲句驪種也      뒷날 가지처럼 갈라져 구리(句驪종족이 되었다.

 

 

고구리(高句麗위치

 

其國                    그 나라는

漢之玄菟郡也            ()나라 현도군(玄菟郡자리에 있다.

在遼東之東              요동군(遼東郡동쪽에 있으며

去遼東千里              요동군(遼東郡)에서 천 리 떨어져 있다.

漢魏世                  ()나라와 위()나라 때

南與朝鮮穢貊            남쪽은 조선(朝鮮)과 예맥(穢貊),

東與沃沮                동쪽은 옥저(沃沮),

北與夫餘                북쪽은 부여(夫餘)

                      이웃하였다.

漢武帝元封四年          한무제(漢武帝)가 원봉(元封사 년(BC 107)

滅朝鮮                  조선(朝鮮)을 멸망시키고

置玄菟郡                현도군(玄菟郡)을 두었다.

以高句驪爲縣以屬之      고구리(高句驪)는 현()으로 만들어 현도군

                        (玄菟郡밑에 두었다.

                        [한서(漢書)에 조선(朝鮮)이 멸망한 것은 원봉

                        (元封삼 년(BC 108)이라고 적혀 있다]

 

 

고구리(高句麗풍물

 

句驪地方可二千里        구리(句驪땅은 사방 이천 리가 너끈히 된다.

中有遼山                가운데 요산(遼山)이 있다.

遼水所出                그 산에서 요수(遼水)가 나온다.

其王都於丸都之下        임금 성()은 환도(丸都아래에 있다.

多大山深谷              큰 뫼와 깊은 골짜기가 많고

無原澤                  넓은 들이나 못은 없다.

百姓依之以居            백성은 산과 골짜기에 터를 잡고 산다.

食澗水                  산골짜기 물을 마신다.

雖土著                  원래 그곳에 살던 사람이라 할지라도

無良田                  좋은 땅을 가지고 있지 않다.

故其俗節食              그래서 사람들은 음식을 적게 먹는다.

好治宮室                궁궐이나 집 꾸미기를 좋아한다.

於所居之左立大屋        지내는 곳 왼쪽에 큰 방을 하나 만들어

祭鬼神                  그곳에서 귀신에게 제사 지낸다.

又祠零星社稷            또 영성(零星방위신)과 사직(社稷터주와

                        고수레)도 모신다.

人性凶急                사람들은 성질이 흉악하고 급하며

喜寇抄                  노략질하는 것을 좋아한다.

 

其官                    벼슬에는

有相加對盧沛者古鄒加    상가(相加), 대로(對盧), 패자(沛者),

                        고추가(古鄒加),

主簿優台使者皁衣先人    주부(主簿), 우태(優台), 사자(使者),

                        조의선인(皁衣先人)이 있다.

尊卑各有等級            높고 낮은 벼슬마다 각각 등급이 있다.

言語諸事                말이나 여러 풍습은

多與夫餘同              부여(夫餘)와 같은 것이 많다.

其性氣衣服有異          성격이나 기질옷은 부여와 다르다.

 

本有五族                처음에 다섯 부족이 있었다.

有消奴部                소노부(消奴部),

奴部                  절노부(奴部),

順奴部                  순노부(順奴部),

雚奴部                  환노부(雚奴部),

桂婁部                  계루부(桂婁部)가 다섯 부족이다.

本消奴部爲王            처음에는 소노부(消奴部)에서 임금이 나왔다.

微弱                    소노부가 약해지자

桂婁部代之              그 뒤를 이어 계루부(桂婁部)에서 임금이 나왔다.

 

漢時                    ()나라 때

賜衣幘朝服鼓吹          머리싸개관복(官服), 피리를 주었다.

常從玄菟郡受之          늘 현도군(玄菟郡)에서 받아갔다.

後稍驕                  나중에 점점 한()나라를 깔보더니

不復詣郡                다시는 현도군(玄菟郡)에 오지 않았다.

但於東界築小城以受之    다만 현도군 동쪽에 작은 성()을 쌓고

                        물건들을 받아 갔다.

至今猶名此城爲幘溝婁    오늘날까지 이 성()을 <머리싸개 구루(溝婁)>

                        라고 부른다.

溝婁者                  구루(溝婁)

句驪名城也              구리(句驪말로 성()을 뜻한다.

 

其置官                  벼슬아치를 둘 때

有對盧則不置沛者        대로()가 있는 곳에는 패자(沛者)를 두지 않고

有沛者則不置對盧        패자(沛者)가 있는 곳에는 대로(對盧)

                        두지 않는다.

 

其俗喜歌舞              그 나라 사람들은 노래와 춤을 좋아한다.

國中邑落                나라 안 마을에서

男女每夜群聚歌戲        사내와 계집이 매일 밤 모여 노래 부르며 논다.

其人潔自喜            그 사람들은 깨끗한 것을 보면 기뻐한다.

善藏釀                  술을 빚어 묻어 두기를 잘 한다.

跪拜申一              무릎을 꿇고 절할 때는 한쪽 다리를 편다.

行步皆走                걷는 것이 달리는 것 같다.

 

以十月祭天大會          시월에 많은 사람들이 모여 하늘에 제사 지낸다.

名曰東明                모임 이름이 <동명(東明)>이다.

其公會衣服              공적인 일로 모일 때는

皆錦繡金銀以自飾        비단 옷을 입으며 금과 은으로 꾸민다

大加主簿頭所著似幘      대가(大加)와 주부(主簿)가 머리에 꽂는 것은

                        머리싸개와 비슷하다.

而無後                  뒤통수에는 아무 장식도 하지 않는다.

其小加著折風            소가(小加) <바람 가르개>를 꽂는다.

形如弁                  모양이 고깔과 비슷하다.

 

其國無牢獄              나라에 감옥이 없다.

有罪者                  죄 지은 사람은

則會諸加評議殺之        여러 가()들이 모여 의논한 다음 죽이고

沒入妻子                그 아내와 자식은 모두 잡아들인다.

 

其俗好淫                사람들은 음탕(淫蕩)한 것을 즐긴다.

男女多相奔誘            많은 사내와 계집들이 서로 꾀면서 야합(野合)

                        즐긴다.

 

已嫁娶                  시집이나 장가를 가면

便稍作送終之衣          장례 때 쓸 옷을 조금씩 만든다.

其死葬                  죽은 사람을 묻을 때는

有槨無棺                방무덤을 쓴다관은 쓰지 않는다.

好厚葬                  장례를 크게 벌이기 좋아한다.

金銀財幣盡於送死        금은 등 온갖 재물을 써서 죽은 사람을 떠나

                        보낸다.

積石爲封                돌을 쌓아 무덤을 만들고

列植松柏                둘레에 소나무와 잣나무를 심는다.

兄死妻嫂                형이 죽으면 동생이 형수를 아내로 삼는다.

 

其馬皆小                말은 모두 몸집이 작아

便登山                  타고 산에 오르기 좋다.

國人氣力              고구리 사람들은 힘센 것을 높이 친다.

便弓矢刀矛              활쏘기칼쓰기창쓰기를 익힌다.

有鎧甲                  갑옷을 입고

習戰                  싸움 연습을 한다.

沃沮東穢皆屬焉          옥저(沃沮), 동예(東穢)가 모두 고구리 밑에 있다.

 

 

대 유리명왕(瑠璃明王재위 BC19-AD18)

 

王莽初                  왕망이 집권 초기에

發高驪兵以伐胡          고리(高驪군대를 끌어들여 오랑캐(흉노)

                        치려고 하였다.

不欲行                  고구리가 흉노를 치기 싫어하자

迫遣之                고구리를 협박하여 군대를 보내게 하였다

皆亡出塞爲寇盜          고구리 병사들이 모두 변방 밖으로 달아나 노략질을

                        일삼았다.

州郡歸咎於句驪侯騶      지나 군현(郡縣)에서 고구리 임금 추()에게

                        잘못을 돌렸다.

嚴尤誘而斬之            엄우(嚴尤)가 추()를 꾄 다음 죽였다.

                        [삼국사(三國史)에는 고구리 장수 연비(延丕)

                        엄우에게 속아 죽었다고 나온다]

王莽大悅                왕망(王莽)이 매우 기뻐하며

更名高句驪爲下句驪      고구리(高句驪이름을 하구리(下句驪)로 바꿨다.

當此時爲侯矣            이때 (고구리 임금을()라고 불렀다.

 

 

대 대무신왕(大武神王재위 18-44)

 

光武八年                광무(光武팔 년(32)

高句驪王遣使朝貢        고구리 임금이 사신을 보내 조공(朝貢)하였다.

始稱王                  처음으로 고구리 임금을 왕()이라고 불렀다.

 

 

대 태조대왕(太祖大王재위 53-146)

 

至殤安之間              상제(殤帝, 105-106)와 안제(安帝, 106-125) 

其王名宮                (이름을 지닌 임금이

數寇遼東                여러 차례 요동(遼東)으로 쳐들어왔다.

玄菟太守蔡風討之不能禁  현도태수(玄菟太守채풍(蔡風)이 궁()을 쳤으나

                        막지 못했다.

 

 

대 신대왕(新大王재위 165-179)

 

宮死                    ()이 죽자

子伯固立                아들 백고(伯固)가 임금이 되었다.

                        [신대왕은 태조대왕 아들이 아니라 동생이다]

順和之間                순제(順帝, 125-144)와 화제(和帝, 88-105) 

                        [화제(和帝)는 환제(桓帝, 146-167)를 잘못 쓴

                        것으로 보인다]

復數犯遼東寇抄          다시 여러 차례 요동군(遼東郡)으로 쳐들어와

                        노략질했다.

靈帝建寧二年            영제(靈帝건령(建寧이 년(169)

玄菟太守耿臨討之        현도태수(玄菟太守경림(耿臨)이 고구리를

                        공격하여

斬首虜數百級            오랑캐 머리 수백 급()을 벴다.

伯固乃降屬遼東          백고(伯固)가 항복하고 요동군(遼東郡)

                        복속했다.

公孫度之雄海東也        공손도(公孫度)가 해동(海東)으로 큰 뜻을 펼 때

伯固與之通好            백고가 공손도와 교류하며 좋은 관계를 맺었다.

 

 

대 고국천왕(故國川王재위 179-197)

 

伯固死                  백고(伯固)가 죽자

子伊夷摸立              아들 이이모(伊夷摸)가 임금이 됐다.

伊夷摸自伯固時          이이모(伊夷摸)는 백고(伯固때부터

已數寇遼東              여러 차례 요동군(遼東郡)을 노략질 하였다.

又受亡胡五百餘戶        또 도망친 오랑캐 무리 오백여 집을 받아들였다.

建安中                  건안(建安, 196-220) 

公孫康出軍擊之          공손강(公孫康)이 군대를 보내 이이모를 쳐

破其國                  그 나라를 깨뜨리고

焚燒邑落                마을을 불태웠다.

降胡亦叛伊夷摸          투항했던 오랑캐도 이이모(伊夷摸)에게 반란을

                        일으켰다.

伊夷摸更作新國          이이모(伊夷摸)가 새 나라를 세웠다.

其後伊夷摸復擊玄菟      그 다음 이이모는 다시 현도군(玄菟郡)을 공격했다.

玄菟與遼東合擊          현도군(玄菟郡)과 요동군(遼東郡)이 함께 이이모를

                        쳐서

大破之                  크게 이겼다.

 

 

11 대 동천왕(東川王재위 227-248)

 

伊夷摸死                이이모(伊夷摸)가 죽자

子位宮立                아들 위궁(位宮)이 임금이 됐다.

位宮有勇力              위궁(位宮)은 힘이 셌다.

便鞍馬                  말타기와

善射獵                  활사냥을 잘했다.

魏景初二年              ()나라 경초(景初이 년(238)

遣太傅司馬宣王率眾      위나라 왕이 태부(太傅사마선왕(司馬宣王,

                        사마의)에게 군사를 거느리고  

討公孫淵                공손연(公孫淵)을 치게 할 때

位宮遣主簿大加將兵千人  위궁(位宮)이 주부(主簿)와 대가(大加)에게 군사

                        천 명을 거느리고

助軍                    사마의 군대를 돕게 하였다.

正始三年                정시(正始삼 년(242)

位宮寇西安平            위궁(位宮)이 서안평(西安平)을 쳤다.

五年                    정시 오년 (244)

幽州刺史毋丘儉將萬人    유주자사(幽州刺史관구검(毋丘儉)이 군사

                        만 명을 거느리고

出玄菟討位宮            현도군(玄菟郡)에서 나와 위궁(位宮)을 쳤다.

位宮將步騎二萬人逆軍    위궁(位宮)이 기병과 보병 이만 명을 거느리고

                        맞섰다.

大戰於沸流              비류(沸流)에서 큰 싸움이 벌어졌다.

位宮敗走                위궁(位宮)이 싸움에 져 달아났다.

儉軍追至峴              관구검 군대가 위궁을 쫓아 산에 이르렀다.

懸車束馬                수레를 세우고 말을 묶은 다음

登丸都山                환도산(丸都山)에 올라

屠其所都                고구리 서울을 휩쓸며  

斬首虜萬餘級            오랑캐 머리 만여 급을 벴다.

位宮單將妻息遠竄        위궁(位宮혼자 아내와 자식만 거느린 체 멀리

                        달아났다.

六年                    정시 육 년(245)

儉復討之                관구검이 위궁을 다시 쳤다.

位宮輕將諸加奔沃沮      위궁이 여러 가()들만 거느리고 옥저(沃沮)

                        달아났다.

儉使將軍王頎追之        관구검이 장군 왕기(王頎)에게 위궁을 쫓게 했다.

沃沮千餘里            옥저 땅 천여 리 되는 곳에서 길이 막혔다.

到肅南界              숙신(남쪽 경계에 이르러

刻石紀功                돌을 파서 공적을 기록했다.

又到丸都山              그리고 환도산(丸都山)으로 돌아왔다.

銘不耐城而還            불내성(不耐城)에 글을 새긴 후 (현도로돌아왔다.

其後                    그 후

復通中夏                고구리가 다시 지나와 교류했다.

 

 

15 대 미천왕(美川王재위 300-331)

 

晉永嘉亂                ()나라 영하(永嘉, 307-313) 때 온누리가

                        어지러웠다.

鮮卑慕容據昌黎大棘城  선비(鮮卑모용외(慕容)가 창려(昌黎대극성

                        (大棘城)에서 할거하였다.

元帝授平州刺史          모용외는 원제(元帝, 317-322) 때 평주자사

                        (平州刺史직함을 받았다.

句驪王乙弗利頻寇遼東    구리 임금 을불리(乙弗利)가 자주 요동을

                        약탈하였다.

不能制                모용외가 을불리를 제대로 막지 못했다.

 

 

16 대 고국원왕(故國原王재위 331-371)

 

弗利死                  불리(弗利)가 죽자

子釗代立                아들 쇠()가 아버지를 이어 임금이 되었다.

康帝建元元年            강제(康帝건원(建元원년(343)

慕容子晃率兵伐之      모용외 아들 모용황(慕容晃)이 군사를 이끌고

                        ()를 쳤다.

釗與戰                  ()가 모용황과 싸웠으나

大敗                    크게 졌다.

單馬奔走                말을 타고 혼자 달아났다.

晃乘勝追至丸都          모용황이 승세를 몰아 환도(丸都)까지 쫓아갔다.

焚其宮室                고구리 궁궐을 불태우고

掠男子五萬餘口以歸      남자 오만여 명을 잡은 다음 돌아갔다.

 

 

18 대 고국양왕(故國壤王재위 384-391)

 

孝武太元十年            효무(孝武태원(太元십 년(385)

句驪攻遼東玄菟郡        구리(句驪)가 요동군(遼東郡)과 현도군(玄菟郡)

                        을 공격했다.

後燕慕容垂遣弟農伐句驪  후연(後燕모용수(慕容垂)가 아우 모용농

                        (慕容農)을 보내 구리를 치고

復二郡                  두 군()을 되찾게 하였다.

垂死                    모용수(慕容垂)가 죽자

子寶立                  모용보(慕容寶)가 왕이 되었다.

以句驪王安爲平州牧      진나라가 구리(句驪임금 안()에게 평주목

                        (平州牧직함을 주고

封遼東帶方二國王        요동대방이국왕(遼東帶方二國王)에 봉했다.

安始置長史司馬參軍官    ()이 처음으로 장사(長史), 사마(司馬),

                        참군관(參軍官)을 두었다.

後略有遼東郡            나중에 요동군(遼東郡)을 쳐서 얻었다.

 

 

20 대 장수왕(長壽王재위 413-491)

 

至孫高璉                 고국양왕 손자 고련(高璉)

晉安帝義熙中             (안제(安帝의희(義熙, 405-418) 

始奉表通貢職             처음으로 표()를 올리고 공물을 보냈다.

歷宋齊並授爵位           (, 420-479)나라와 제(, 479-502)나라 

                         때에도 작위(爵位)를 받았다.

年百餘歲死               백여 살을 살고 죽었다.

 

 

21 대 문자명왕(文咨明王재위 491-519)

 

子雲                     아들 운()

齊隆昌中                 ()나라 융창(隆昌, 493-494) 

以爲使持節散騎常侍       <사지절(使持節산기상시(散騎常侍)

都督營平二州             도독(都督영평이주(營平二州)

征東大將軍樂浪公         정동대장군(征東大將軍낙랑공(樂浪公)>

                         직함을 받았다

高祖即位                 고조(양고조 소연(蕭衍), 재위 502-549)

                         즉위하자

進雲車騎大將軍           ()에게 거기대장군(車騎大將軍직함을

                         주었다.

天監七年                 천감(天監칠 년(508)

詔曰                     조서를 내려

高驪王樂浪郡公雲         <고리왕(高驪王낙랑군공(樂浪郡公()

乃誠款著                 정성이 돋보이고

貢驛相尋                 공물과 소식 보내는 것이 지극하므로

宜隆秩命                 관직을 올려주는 것이 마땅하다

式弘朝典                 조정 관례에 따라 관직을 더해

可撫東大將軍             <<무동대장군(撫東大將軍)

開府儀同三司             개부의(開府儀동삼사(同三司)>>를 주는

                         것이 옳다.

持節常侍都督王並如故     지절(持節), 상시(常侍), 도독(都督), ()

                         모두 예전과 같다하였다.

十一年                   천감(天監십 일 년(512)

十五年                   천감(天監십 오 년(516)

累遣使貢獻               고구리 임금이 사신과 공물을 여러 차례 보냈다.

 

 

22 대 안장왕(安藏王재위 519-531)

 

十七年                   천감(天監십 칠 년(518)

雲死                     ()이 죽자

子安立                   아들 안()이 임금이 됐다.

普通元年                 보통(普通원년(520)

詔安纂襲封爵             조서를 내려 안()에게   

持節督營平二州諸軍事     <<지절(持節독영평이주(督營平二州)

                         제군사(諸軍事)

寧東將軍                 영동장군(寧東將軍)>> 직함을 잇게 하였다.

 

 

23 대 안원왕(安原王재위 531-545)

 

七年                     보통(普通칠 년(526)

安卒                     ()이 죽자

子延立                   아들 연()이 임금이 됐다.

遣使貢獻                 ()이 사신과 공물을 보냈다.

詔以延襲爵               조서를 내려 연()에게 아버지 직함을 잇게 했다.

中大通四年六年           중대통(中大通사 년(532)과 육 년(534),

大同元年七年             대동(大同원년(535)과 칠 년(541)

累奉表獻方物             여러 차례 표()를 올리고 특산물을 바쳤다.

 

 

24 대 양원왕(陽原王재위 545-559)

 

二年                 태청(이 년(548)

延卒                     ()이 죽자

詔以其子襲延爵位         조서를 내려 그 아들이 직함을 이어 받게 했다.

<양서(梁書 54 열전 제48 제이(諸夷)>

 

[한자 풀이]

 : [활집

 : [아이 배다

 : [막히다

 : [산골 물

土著 : [토착토착민(원래 그곳에 살던 사람)

 : [노략질하다

 : [비가 쏟아지다

簿 : [문서장부  [얇다

 : [황새  [박주가리물억새

 : [끌다거두다별 이름

 : [머리싸개

 : [이르다가다

 : [오히려다만, ~부터그대로

 : [술 빚다.

 : [무릎 꿇다무릎 꿇고 절하다.

沒入 : [몰입죄인의 재산을 몰수하고 가족은 종으로 삼기 위해

              모두 잡아들임

 : [달리다야합(野合)하다예를 갖추지 않고 혼인하다.

便 : [편하다쉬다아첨하다익히다  

     [똥오줌문득

 : [화폐비단폐백재물

 : [봉하다흙더미를 쌓다무덤

 : [갑옷

 : [허물잘못꾸짖다  [()

 : [말 먹이는 사람기수마부

 : [제후임금후작

 : [더욱한층오히려으뜸

 : [(), 거북나라이름

 : [빛나다환하다

 : [본뜨다베끼다찾다  [더듬다

 : [사르다불태우다

 : [안장

 : [스승

 : [고개산 이름작고 험한 산

 : [달다매달리다

 : [죽이다

 : [숨다달아나다내치다

 : [헌걸차다

 : [산 이름사람 이름  

     [성벽  [사람 이름

 : [가시가시나무

 : [자주빈번히급하다물가찡그리다

 : [사람 이름  [보다만나보다

 : [밝다환하다

 : [드리우다늘어뜨리다베풀다전하다변방국경

貢職 : [공직둘 다 공물 뜻이 있다

 : [항목정성

 : [역참연락이 끊이질 않다

 : [차례녹봉벼슬관직

 : [목숨명령규정작위

 : [제도본받다기준으로 삼고 따르다

 : [법전벼슬의식

 : [모으다잇다 ]

 : [엄습하다치다잇다물려받다

 

 

이 글을 퍼가는 분은 출처를 밝혀 주십시오.

 

[참고 자료]

양서(梁書 54 열전 제48 제이(諸夷)


반응형

댓글